"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우리가 말하거나 노래할 때, 공기는 폐에서 성대를 거쳐 입이나 코로 빠져나오며 소리를 만들어냅니다.
특히 성대 주변과 목구멍(성도, Vocal Tract)의 상태에 따라 소리가 달라지는데,
이는 소리의 높낮이, 음색, 그리고 모음 발음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1. 성대 위·아래의 조임과 소리 변화
성대의 위치와 긴장도
성대는 후두(목 안쪽)에 위치하며, 공기가 지날 때 진동해 소리를 냅니다.
성대를 조이는 위치(위쪽·아래쪽)나 성대 주변 근육의 긴장 상태가 달라지면,
음색과 음정(피치)이 변합니다.
위쪽을 조이는 느낌: 주로 성대 바로 위(후두개 부근)나 인후두의 공간이 좁아져,
약간 날카로운 음색이 나오기 쉽습니다.
아래쪽을 조이는 느낌: 성대 밑(기도 쪽)이 좁아지면,
저음역대가 도드라질 수 있고 울림이 깊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공명腔(공명체)의 형태
소리는 성대가 만든 진동을 구강(입안), 비강(코 안), 인후두 등에서 증폭시키면서 다양한 음색을 갖게 됩니다.
목 안쪽을 어느 부위에서 조이거나 이완하느냐에 따라,
공명 공간의 크기와 형태가 달라지므로 음색이 달라집니다.
2. 모음별 발성 위치: ㅣ, ㅔ, ㅏ, ㅗ, ㅜ
(1) 왜 모음마다 울리는 위치가 다를까?
모음은 입안의 형태와 혀의 위치에 따라 달라집니다.
혀가 어느 부분에서 높이 올라가는지(전설, 후설),
입이 얼마나 열리는지(개음, 폐음)에 따라 공명의 중심이 바뀝니다.
(2) ㅣ → ㅔ → ㅏ → ㅗ → ㅜ 순으로 깊어지는 이유
ㅣ(i) 모음은 혀가 앞쪽, 위쪽에 위치합니다.
입 안의 앞쪽 공간이 작고 목 쪽 공간이 상대적으로 넓어,
소리가 앞에서 맑게 형성되는 느낌이 납니다.
ㅔ(e)는 ㅣ보다 혀가 조금 내려와,
입 안 앞쪽 공간이 약간 커집니다. 중간 정도의 울림을 얻게 되죠.
ㅏ(a)는 혀가 더 낮고 뒤쪽으로 가면서,
입안의 공간이 커지고 목구멍 쪽이 더 확장되어,
소리가 아랫목에서 울리는 듯한 느낌이 강해집니다.
ㅗ(o)는 입술을 둥글게 모으고, 혀가 뒤쪽·약간 위쪽에 자리해,
구강 뒤쪽 및 입술 주변의 공명도가 높아집니다.
ㅜ(u)는 혀가 뒤쪽·위로 올라가고, 입술을 더욱 둥글게 오므린 상태로,
구강과 인후두가 좁아지며, 소리가 더욱 깊고 뒤쪽에서 울리는 느낌이 납니다.
핵심 포인트
혀의 위치(전설/후설), 높이(고/저), 입술 모양(원순/평순) 등으로 인해
공명실(입안+목)의 구조가 달라짐
이 구조 변화가 각 모음 특유의 포먼트(formant), 즉 공명 주파수를 만들어 냄
3. 발성 위치의 변화, 왜 생길까?
혀 움직임과 인후두의 조절
우리가 말하거나 노래할 때, 무의식적으로 혀와 목 주변 근육을 움직여
‘원하는 모음’을 만들어냅니다.
이는 혀뿐만 아니라 후두(성대 위치)와 연구개(입천장 뒤쪽)까지
조화롭게 작용해야 가능한 과정입니다.
성도(목·입) 구조의 적응
각 모음별로 다른 구조(혀·입술·턱의 위치)에 적응하면서,
성대 위아래 압력이 달라지게 됩니다.
이러한 압력 차가, 소리가 깊게 깔리거나, 앞쪽에서 울리거나,
혹은 날카롭게 들리게 하는 핵심 요인이 됩니다.
4. 올바른 발성을 위한 팁
과도하게 조이지 말기
목이나 어깨 주변을 과도하게 긴장시키면 오히려 음색이 탁해지고,
성대에 무리가 갈 수 있습니다.
편안한 자세와 자연스러운 호흡이 우선입니다.
입 안의 공간 활용
모음이 바뀔 때마다 혀와 입술 모양을 크게 바꿔보세요.
ㅣ에서 ㅏ로 갈 때, 입 안 공간이 확장됨을 느끼도록 합니다.
복식 호흡 연습
성대와 인후두의 압력 변화가 부드럽게 일어나려면
충분한 호흡 지원(복식 호흡)이 중요합니다.
목 대신, **횡격막(배)**을 사용해 공기를 컨트롤하는 연습을 해보세요.
마무리
성대의 위·아래 어느 부위를 조이느냐와 혀·입술의 위치에 따라,
소리가 앞에서 울리거나, 뒤에서 깊게 깔리거나, 밝게 혹은 어둡게 달라집니다.
특히 모음(ㅣ→ㅔ→ㅏ→ㅗ→ㅜ)은 혀의 위치가 어떻게 이동하는지에 따라
음색의 중심이 계속 바뀌는 대표적인 예죠.
발성은 이렇게 성대에서 시작되어, 목과 입안을 거치는 동안 수많은 변수에 의해 완성됩니다.
나에게 맞는 발성 위치와 소리 통로를 알맞게 조절해보면,
보다 편안하면서도 풍부한 음색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입니다.
